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선택정렬(Select Sort)
- 배열(Array) 와 연결리스트(Linked List)
- 선택정렬 (Select Sort)
1. 메모리가 동작하는 방법
예를 들어 물건을 보관하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1개의 공간에 1개의 물건만 보관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물건의 갯수만큼 공간의 갯수가 필요할 것이다.
메모리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공간 => 메모리 주소, 무엇인가를 저장할때마다 주소(공간)를 요청
- 여러 개의 원소를 저장해야한다면 배열과 리스트라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
2. 배열과 연결리스트
배열 : 일정 공간을 미리 할당받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영화관의 자리를 미리 예매해놓고 시청하는 방법, 누군가가 오지 않는다면 그대로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그리고 연속해서 앉고 싶어하는데 새로운 친구가 온다면 자리를 옮겨야 한다.)
- 예약 인원보다 적게 온다면 메모리 낭비.
- 많이 온다면 위치를 옮겨야 한다.
연결리스트 : 데이터와 함께 다음 데이터의 주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차이
배열은 연속된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 다음 10번째 또는 몇번째 데이터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연결리스트의 경우 쭉 이어서 따라가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각 조건에 맞게 필요한 것을 이용하면 된다. 어느 것이 좋다는 것은 없다.
배열과 리스트의 읽기와 쓰기 시간표
배열(Array) 리스트(Linked List) 읽기 쓰기 삭제 배열 : 순차 접근, 임의 접근 모두 가능
리스트 : 순차 접근 밖에 할 수 없다.
3. 선택정렬(Select sort)
파일명 | A | B | C | D | E | F | G |
---|---|---|---|---|---|---|---|
반복횟수 | 156 | 141 | 35 | 94 | 88 | 61 | 111 |
반복을 가장 많이 한 횟수의 파일부터 정렬하여 가장 많이 반복한 파일을 찾고싶다면?
모든 데이터를 탐색하여 가장 많은 데이터부터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
- =>
- 각 횟수를 진행할 때마다 전체 데이터를 확인해야 한다.
선택 정렬은 깔끔한 알고리즘이지만 빠르지는 않다. 퀵 정렬은 시간 밖에 안걸린다.
4. 예제코드 (Python)
xxxxxxxxxx
# python 3.5
def find_smallest(arr):
smallest = arr[0]
smallest_index = 0
for i in range(1, len(arr)):
if arr[i] < smallest:
smallest = arr[i]
smallest_index = i
return smallest_index
def select_sort(arr):
new_arr = []
for i in range(1, len(arr)):
smallest = find_smallest(arr)
new_arr.append(arr.pop(smallest))
return new_arr
test_list = [5,3,2,7,10,15,1]
print(select_sort(test_list))
'STUDY > 알고리즘(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Breadth 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 (0) | 2017.09.05 |
---|---|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Hash Table (해시테이블) (0) | 2017.09.05 |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Quick Sort (퀵 정렬) (0) | 2017.08.30 |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재귀함수 Recursive function (0) | 2017.08.26 |
[그림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알고리즘] 이진탐색(binary search) (0) | 2017.08.22 |